티스토리 뷰
장기요양등급 점수 산정방법
이번 시간에는 장기요양등급 점수 산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방법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장기요양 인정 절차 중 핵심적인 과정 중 하나는 신청인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상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입니다. 이 점수는 장기요양 서비스가 필요한지를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며,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공정한 등급판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장기요양인정점수는 다음과 같은 단계별 절차를 통해 산출됩니다.
1단계: 심신 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 결과
장기요양인정 절차의 첫 번째 단계는, 신청인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총 52개 항목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2단계: 영역별 점수 합계
장기요양 인정절차의 두 번째 단계는, 1단계에서 조사된 52개 항목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평가 영역별 점수를 합산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장기요양인정조사표」에 따른 평가 항목별로 정해진 기준 점수표—즉, ‘영역별 조사항목 원점수표’—에 따라 수행됩니다.
조사된 항목 각각은 신청인의 심신 기능 상태를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합니다.
1점: 신청인이 해당 활동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어 ‘완전자립’이 가능한 경우, 또는 증상이나 기능장애가 없음으로 평가되는 경우(예: 운동장애 없음, 관절 제한 없음 등)
2점: 일부 도움을 필요로 하거나 기능이 부분적으로 저하된 상태일 경우. 예를 들어,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황, ‘불완전한 운동장애’가 있는 경우, ‘한쪽 관절에만 제한’이 있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3점: 완전한 도움이 필요한 상태, 또는 신체 기능에 전반적인 제한이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완전한 도움’을 받아야만 활동이 가능한 경우, ‘양쪽 관절에 모두 제한’이 있거나 ‘완전한 운동장애’가 있는 경우 등입니다.
3단계: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
2단계에서 각 평가 영역별로 합산한 원점수를 기반으로, 다음 단계에서는 해당 점수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4단계: 8개 서비스군별 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 및 총점
1단계에서 조사한 신청인의 심신 상태를 반영한 52개 항목의 조사 결과와 3단계에서 산출한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를 바탕으로, 이제 8개의 서비스군별로 장기요양인정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5단계: 장기요양 등급 결정
예를 들어, OO 지역에 거주하시는 김OO 할아버지의 경우, 여러 단계의 심신 상태 조사와 점수 산정을 통해 최종 장기요양인정점수가 80.2점으로 산출되었습니다. 이 점수를 바탕으로 장기요양등급 판정 기준에 맞춰 평가한 결과, 김 할아버지는 장기요양 2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